겨레하나 여행사업단 더하기휴입니다.

2016년 9월 6일 화요일

댓글 없음
전교조 선생님들과 함께 다녀온 백두산 북중접경지역 평화감성여행.
 
723일부터 27일까지 전교조 경기지부, 경남지부, 전남지부 선생님 37명과 함께
 
압록강에서 두만강까지, 북중접경지역 기행을 다녀왔습니다.
 


조선이 식민지로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전쟁인 러일전쟁의 격전지 203고지를 시작으로 저항시인 윤동주의 생가까지. 한반도 땅에서 잠시 벗어나 동아시아의 눈으로 다시 한반도를 바라보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첫날 점심, 1시간 남짓 비행을 하고 대련 공항에 내렸습니다.
 
첫번째로 러일전쟁의 격전지 203고지를 갔습니다. 당시 제국인 러시아와 일본이 싸운 전쟁, 일본에게 승리를 안겨준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진 곳이 바로 203고지였습니다. 일본에게는 승리의 전쟁이었지만, 조선에게는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로 만드느데 이제 아무런 걸림돌이 없게되는 국제적 조건을 만드는 그러한 전쟁이었죠.
 
비극의 시작의 현장을 눈으로 확인하고 안중근 의사가 계셨던 뤼순감옥으로 갔습니다.
안중근, 신채호, 이회영 등 많은 항일운동가들이 투옥되었던 뤼순감옥. 커다란 감옥 속에서 목숨이 다 할때까지 조선의 독립을 외쳤던 수많은 선열들을 가슴이 새기였습니다.
 
그리고 관동법원에서 우리민족 해설사분의 설명을 들으며 만주에서의 일제의 만행을 들을 수 있었고, 안중근 의사가 재판받던 그곳에서 안중근 의사의 항일의 의지를 다시금 볼 수 있었습니다.
 







둘째날 일정을 하기 위해 5시간 여를 버스로 달려 단둥에 도착했습니다.
다음 날 아침 서둘러 일정을 시작하여 압록강에 도착했을 때, 그 전부터 너무나 많은 비가 내려 안타깝게도 압록강 유라섬을 탈 수 없다는 비보를 접했습니다.ㅜㅜ 실제 가보니 압록강 수위가 너무 높아 실제 배를 타기 어려운 지경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현지 가이드가 몇 일전 압록강 물이 범람한 사진을 보여주니 그나마 압록강 철교라도 볼 수 있는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아쉬움을 뒤로 하고 먼저, 압록강 단교를 관람하였습니다. 이곳은 한국전쟁 때 미국의 폭격으로 다리의 일부가 아예 파괴되어 전쟁의 참화를 보여주고 있었고, 역사의 현장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우리가 간 날은 중국 국가건설 기념주간이라 그런지, 대형화면을 설치해놓고 전쟁 당시 영상을 틀어놓고 있었습니다.
이곳에서는 해설을 통해 북중관계의 역사적 의미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다음은 현재 중국의 동북공정의 현장인 박작성, 중국에서는 호산장성이라 부르는 곳에 가보았습니다. 호산장성은 우리나라 고구려의 성터인 박작성 터인데, 중국정부에서 이를 만리장성의 동쪽 끝이라고 주장하며 아예 새로 건축한 관광지로 되어있었습니다.
우선 바로 옆에 있는 일보과라는 곳에서 한치앞만 건너도 바로 북녘땅이 보이는 곳에서 분단의 현실을 잠깐 느껴보고, 호산장성에 올라 중국 동북공정의 현재를 보았습니다.
나라가 분단되어 힘이 약하다보니 이런 역사왜곡 문제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 너무나 안타까웠습니다.
 
이곳을 보고 나서 점심 식사 후 백두산까지 우리는 데려다줄 열차를 타기 위해 단둥기차역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아마도 여행의 가장 긴 이동이면서도 광활한 만주벌판을 확실히 느낄 수 있는 18시간 열차를 타는 것은 또 하나의 여행의 특별코스일 것입니다.
참가자들은 기차 안에서 먹을 거리들을 사고 기차에 올라타 긴 시간 이야기도 나누고 술도 한잔하면서 또 끝없는 옥수수밭과 만주벌판을 보면서 이도백하역까지 무사히 도착하였습니다.
 
셋째날 아침, 이도백하역에 도착해서 바로 백두산으로 향했습니다
백두산으로 향하는 길에 비도 오고 날씨가 좋지 않았지만, 막상 이도백하역에 도착하니 날씨가 점점 개이면서 백두산 천지를 볼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겼습니다.
아침 식사를 하고 산에 오를 차비를 한 다음 백두산으로 향하는 길, ‘백두산노래를 배우며 민족의 성산으로 향했습니다.
우리가 가는 백두산 코스는 북파 코스였습니다. 셔틀 버스를 타고 또다시 중간에 봉고차를 갈아타고 천지 바로 밑에까지 가는 길, 산길을 직접 밟으며 올라가지 못한 것이 아쉬웠지만 쉽게 가보지 못하는 백두산에 오른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감격스러운 길이었습니다.
셔틀을 타고 봉고차를 타야하는데, 버스가 그곳을 지나쳐 장백폭포에 멈추었습니다. 천지에 사람이 너무 많아 내려주지 않은 것이었습니다. 우선 먼저 백두산에 유일하게 있는 폭포인 장백폭포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백두산 천지를 보기 위해 다시 버스에 탔습니다. 그리고 꼬불꼬불 봉고차의 손잡이를 붙잡고 아슬아슬 산길을 올랐습니다. 드디어 천지. 아주 맑진 않았지만 선명히 잘 보이는 백두산 천지를 보며 몇 번을 봐도 뭔가 이 느껴지는 것 같은 기분을 감출수 없었습니다. 한참동안 천지를 구경하고 내려와 늦은 점심을 먹고 숙소로 향했습니다.
 
넷째날, 천지를 본 그 감격을 안고 마지막 날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3시간 버스를 타고 도착한 곳은 훈춘, 그러니까 중국에서 바다를 볼 수 있는 가장 끝지점인 방천에 있는 용호각이라는 전망대에 도착했습니다. 이 곳은 중국과 북, 러시아 삼국의 국경이 맞닿아있는 곳으로, 날씨가 좋으면 머나먼 동해바다도 보이는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날씨가 너무 좋지 않아 안개가 한 치 앞도 볼 수 없는 탓에 전망대에 오르기만 하고 아무것도 볼 수 없었습니다

안타까움을 뒤로 하고 다음 코스인 도문으로 향했습니다. 압록강에서 두만강까지. 한반도의 끝인 두만강에 도착해 두만강 뗏목을 타고 북한과 중국이 여전히도 물자를 교류하고 있는 도문대교를 조망하고 마지막 코스인 용정으로 향했습니다. 아마도 두만강에서의 시간이 분단과 통일의 현실을 가장 직감할 수 있고 통일에 대한 생각이 가장 많이 드는 곳일 것입니다.
 
마지막 용정에서는 윤동주 시인의 생가와 대성중학교를 방문하였습니다. 저항시인 윤동주의 삶이 담긴 영화 동주도 보았고, 시인의 갈등과 고뇌가 담긴 생가와 시를 보면서 주권을 잃은 나라의 청년의 삶이 어떤 처지였는가를 여실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대성중학교를 끝으로 모든 일정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와 그간의 여행의 회포도 풀도 어떤 느낌이었는가를 공유하는 뒤풀이 자리도 가졌습니다.
 
그렇게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45일의 기행을 마치고 마지막날 연변 조선족(우리민족)의 항일운동역사, 전통 풍습 등이 전시되어있는 연길박물관 관람을 하고 무사히 비행기를 타고 한국에 도착했습니다.
 
넷째날 밤 소감 이야기를 하는 걸 들어보니 많은 분들에게 이번 기행이 남다른 의미가 있었던 같아 준비했던 입장에서 참 뿌듯하고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기행을 통해 역사와 평화, 통일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댓글 없음 :

댓글 쓰기